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방언, 언약적 축복
베드로는 오순절에 하나님의 신이 모든 육체에 아주 특수하게 부어질 것을 예언했던 구약성경의 한 인물로서 선지자 요엘을 지목했던 반면에 사도 바울은 특별히 방언 그 자체를 구약과 연결시키고 있다. “율법에 기록된 바 주께서 가라사대 내가 다른 방언하는 자와 다른 입술로 이 백성에게 말할지라도 저희가 오히려 듣지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고전 14:21 이하).
모세는 BC 15세기에 이스라엘을 심판하기 위해 외국어를 말하는 백성이 올 것을 예언했다(신 28:49). 이사야는 BC 8세기에 동일한 예언을 했으며(사 28:11), 이스라엘이 포로로 잡혀갈 때 예레미야도 동일한 메시지를 되풀이했다(렘 5:15). 이러한 예언은 외국어를 말하는 바벨론인들이 BC 586년에 이스라엘을 짓밟았을 때 처음으로 성취되었다. 그러나 바울은 이러한 이스라엘에 대한 언약적인 저주의 표적이 신약 시대의 방언이라는 은사의 현실을 통해 그 결정적인 성취를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사 28:11; 고전 14:22).
문자적인 의미로 오순절의 방언은 이스라엘로부터 그 나라를 빼앗아 열방의 모든 나라에 준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는 방언이라는 은사에 의해 제시된 구원의 확장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즉 하나님의 구속사적인 프로그램이 유대인 중심의 활동에서 세상의 모든 열국을 포함하는 활동으로 옮겨진 것을 알려 주는 표적의 기능이 있다. 즉 방언이라는 표적은 전이의 표적이다.
따라서 방언은 이스라엘의 언약적인 불충성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적인 저주의 표적임과 동시에 모든 민족들에게 모든 언어로 말씀하실 하나님의 언약적인 축복의 표적이다.
출처 : 두란노 비전성경사전
100% (마가복음)
0% (전체)
[지도] 갈릴리 가버나움
유다는 거의 약탈에 가까운 로마 제국의 세금 정책으로 인해 큰 괴로움을 당하고 있었으며, 이방 지역의 교회들도 네로 황제의 박해로 인해 환난과 순교를 당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사도들은 점차 사라져 갔으며 그리스도 예수의 사역과 교훈을 실제로 체험한 성도들도 희귀해져 갔습니다. 그러므로 안밖으로 어려움에 처한 교회에 신앙의 격려가 필요 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교훈을 기록하여 남겨 둘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 책은 하나님 아들이신 메시야 그리스도께서도 '고난의 종'으로 오셔서 고난받는 삶을 사셨으며 끝내는 하나님의 의와 권능으로 승리하여 부활 승천하게 되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고난 중에 있는 성도들을 격려할 목적으로 기록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가복음을 기록한 사람으로, 유대인 본래 이름은 요한이다(행 12:12). 마가(Markos)는 로마식 이름이다. 사도행전에서 마가를 ‘마가라 하는 요한’이라고 부른 곳이 두 곳 있다(행 12:12, 25). 마가는 바나바 사도의 조카이기도 하다(골 4:10).
바울 사도의 동역자로서의 마가:
바울 사도는 예루살렘 부조를 마치면서 마가를 안디옥으로 데려갔다(행 12:25). 안디옥 교회에서 큰 신뢰를 얻은 마가는 바울 사도와 바나바 사도가 1차 전도여행을 떠날 때 바울 사도의 ‘수종자’로 동행하게 된다. 그러나 개인적인 문제로 인하여 밤빌리아의 버가에서 탈퇴하여 혼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되었고(행 13:13), 이 사건은 나중에 바울 사도와 바나바 사도 사이의 분쟁의 불씨가 되었다. 제2차 전도여행 때 바나바 사도는 마가를 함께 데리고 가려 했으나 바울 사도는 이를 거절했다. 바나바 사도는 사람을 세우는 데 관심이 많았으며, 바울 사도는 사역을 이루는 데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이 문제로 둘은 심히 다투었으며, 바울 사도는 실라를 데리고 소아시아로, 바나바 사도는 마가를 데리고 구브로로 전도여행을 떠났다(행 15:36-41). 그러나 나중에 마가는 다시 바울 사도에게서 인정을 받았다. 그는 로마에서 바울 사도와 함께 지냈으며, 바울 사도는 골로새 교회 성도들에게 마가를 기쁨으로 영접하라고 부탁했다(골 4:10).
그후 마가는 성숙한 신앙인이 되어 아리스다고와 유스도와 함께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동역자가 되었으며 바울 사도는 마가에게서 진정한 위로를 발견했다(골 4:10-11). 바울 사도가 로마 감옥에 두 번째 투옥되었을 때 바울 사도는 마가를 그리워하여 디모데에게 마가를 데려올 것을 부탁했으며, 그를 가리켜 ‘나의 일에 유익한 자’라고까지 했다(딤후 4:11).
베드로 사도도 마가를 ‘내 아들 마가’(벧전 5:13)라고도 불렀다.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예수님의 생애를 가장 간결하면서도 박진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표] 마가복음 권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