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뽕나무 1(Balsam tree)
우유빛 수액을 분비하는 유향나무로 ‘베카임’(beka'im)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 나무는 웬만한 바람이 불어도 잎사귀끼리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평소에 잎이 흔들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 나무에서 잎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 것은 평이한 일이 아니다. 다윗 왕은 이 나무의 잎이 흔들리는 소리를 들을 때 하나님의 임재를 확신하고 나가 싸우므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이때의 사건에 나오는 뽕나무가 이 나무라고 본다(삼하 5:23-24; 대상 14:14-15).
뽕나무 2(Mulberry tree)
누가복음 17:6에 나오는 뽕나무는 ‘쉬카미노스’(sykaminos)로 오디가 열리는 일반적인 뽕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뽕나무 3(Sycamore-fig tree)
공동번역에는 돌무화과나무라고 번역되어 있는 이 나무는 라틴어와 헬라어에서 파생한 이름인 ‘시카모어’라는 나무로 히브리어로 ‘시크마’(shiqmah)라는 나무이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이집트이고 그 열매의 맛이 무화과와 비슷하다고 하여 흔히 ‘이집트 무화과’라고 한다. 이 나무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에서 자라며 유대 해안 지방, 갈릴리 아랫쪽, 유대 평야, 요르단 골짜기 같은 낮은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나무(왕상 10:27; 대하 1:15; 9:27)로 산악지대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이 나무의 특징은 첫째, 열매를 일 년 내내 맺는다는 것이다. 이 나무의 열매는 달며 최소한 두 번 정도의 열매를 맺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 애용하는 과일이다. 맛은 무화과보다 떨어지지만 먹을 만하며 영양분도 많기 때문이다.
둘째는, 생명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 나무는 밑둥치까지 잘라버려도 그루터기에서 새순이 올라온다. 나무를 흙으로 덮어버려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가지들이 뿌리를 내리면서 땅 위로 뻗어 올라온다. 장마나 바람으로 뿌리가 드러나도 뿌리는 땅 속 깊이 물길을 찾아 뻗는다.
셋째로는, 나무 재질이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다. 나무 재질이 치밀하지는 않지만 내구성이 강하다. 병충해에도 잘 견디고 열기나 습기에도 심한 영향을 받지 않아 오랜 세월이 지나도 상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고대 애굽인들은 미이라 넣는 관을 이 나무로 만들었다. 아모스 선지자가 키웠다는 뽕나무는 이 나무를 말하는 것이며(암 7:14) 삭개오가 올라간 나무도 이 나무라고 보고 있다(눅 19:4).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50% (열왕기상)
0% (전체)
애굽(이집트)은 람세스 3세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앗수르(앗시리아)는 아직 작은 나라였습니다.
열왕기(列王記)
히브리어: ספר מלכים 세페르 믈라킴
그리스어: Βασιλειῶν 바실레온
영어: Books of Kings
열왕기 상하서는 사무엘 상하서처럼 히브리어 성경에는 한 권의 책이었습니다.
70인역에서는 제3왕국기, 제4왕국기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두란노 비전성경사전에서 일부 발췌한 내용입니다.
"열왕기는 다른 성경의 역사서와 마찬가지로 세속적인 역사가의 관점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예언적인 관점에서 쓰여졌다. 따라서 일반 역사가들에게는 중요한 왕들이 별로 언급되지 않으며, 반면 그들에게 중요하지 않은 왕들이 보다 자세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관계이며,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어떻게 다루시는가 하는 것이다. 사실 이것이 역사에서 중요한 것이며 역사에 기록될 만한 것이다."
지혜로운 솔로몬 왕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솔로몬 왕 이후 이스라엘은 남북으로 분열됩니다.
남북으로 분열된 이스라엘의 왕들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엘리야 선지자가 등장합니다.
[표] 열왕기상 권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