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천국이란?
에스라하우스 김성국 목사님의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 : 에스라하우스 김성국 목사님의 글 (원문보기) ]
근본적인 천국부터 우리의 부활과 궁극적인 천국까지의 여정
- 천국의 정의 :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과의 인격적 사귐이 이루어지는 곳
① 근본적인 천국 : 삼위 하나님께서 하나로 계시는 곳
- 스스로 계시고 전지전능 하시고 무소부재 하시고 영원불변 하신 하나님께서 계신 곳
② 임시적 천국 1 : 에덴동산, 아담과 하와의 죄로 끝나고 말았다.
-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창조 하셨다.
- 사람이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욕심 때문에 뱀의 미혹을 받아 죄를 지었다.
- 그래서 정상적인 생육 법으로 태어난 사람은 모두 죄 아래 있게 된다.
- 그래서 죄 아래 태어난 사람은 그 육체가 한번 죽는 것이 정한 이치가 되었다.
③ 임시적 천국 2 : 주님을 영접한 우리 마음에 이루어지는 천국, 살아있을 동안
- 사람의 마음에 이루어지고 이 땅에 임하는 하나님 나라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의 사귐이 있는 사람의 마음에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 내 마음의 천국이다.
[ 마태복음 11장 12절 (공동번역) ]
"세례자 요한 때부터 지금까지 하늘 나라는 폭행을 당해 왔다. 그리고 폭행을 쓰는 사람들이 하늘 나라를 빼앗으려고 한다."
- 그래서 각 사람 마음에 이루어지는 천국은 임시적일수 밖에 없다.
④ 임시적 천국 3 : 우리들의 천국, 이 땅에 있는 성도들의 사귐. 이 땅에서만 존재
-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함으로 성령의 도우심을 받는 공동체
⑤ 임시적 천국 4 : 영혼들이 머무는 낙원, 부활 때 까지만 존재하는 천국
- 낙원, 아브라함의 품, 본향 찾는 자들을 위해 예비하신 성, 주안에서 자는 자들이 있는 곳,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여전히 살아 있는 곳, 육체가 죽은 자들이 영혼은 당연히 살아 있어 육체의 부활을 기다리는 곳
- 마지막 나팔에 여기 낙원이 있는 자들의 영혼이 육체를 얻어 부활할 것이다.
⑥ 임시적 천국 5 : 예수님께서 다윗에 위에 앉아 통치하는 천년왕국, 이스라엘이 중심된 만국의 회복. 천년왕국은 교회가 아니다.
- 구약에 예언된 이스라엘을 중심한 회복은 이때를 말하는 것이다.
- 마지막 나팔에 낙원에 있던 자들은 부활한다. 부활한 자중 144,000명을 거느리고 예루살렘에 임하시면 천사들이 모은 인침을 받은 사람들이 휴거 될 것이다. 이 땅에 진노의 대접이 부어질 때 예수님께서는 백마 타고 진노의 포도주 틀을 밟고, 적그리스도와 거짓 선지자를 잡아 산채로 지옥에 넣으신다.
그 후 마귀는 결박되어 무저갱에 들어간다. 예수님께서 감람산에 내려오시면 이 땅은 새로워지며 천년왕국이 시작된다.
⑦ 궁극적인 천국 : 근본적인 천국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두 귀속되면서 시작
- 근본적인 천국에서 사람과 더불어 영원히 사랑하시고자 만드시기로 하신 곳
- 하나님께서 창세전에 예정하신 계획
- 예수님께서 통치하시는 천년왕국을 아버지 하나님께 바치시면서 이루어지는 곳
- 새 예루살렘은 궁극적인 천국의 중심이 된다.
- 우리가 바라보는 궁극적인 천국
초막절(草幕節, Feast of Tabernacles)
올리브, 포도 등을 추수하여 저장한 후 티쉬리월(7월, 태양력으로 9-10월) 15일부터 지키는 감사 절기를 말한다(레 23:34-41). 곡식을 거두고 저장한 후 지키는 절기라 하여 수장절이라고도 하고(출 23;16) 장막절이라고도(요 7:2-표준새번역) 하였다.
오늘날의 추수 감사제와 비슷한 절기로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을 기념하는 절기이자 동시에 신년제의 성격이 들어 있었다.
이 절기 때는 노동이 금지되었으며 첫 날과 팔 일에 안식하며 성회로 모였고 칠 일 동안 화제를 드렸다(레 23:34-44). 그리고 이 절기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칠 일 동안 즐거워하며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40년 생활을 기념하며 초막에 거하였다(레 23:42-43).
초막절 의식:
초막절 기간에는 매일 아침 제사장이 금으로 만든 물단지를 가지고 가서 실로암 연못에서 물을 길어와 제단에 부어 바쳤다. 여기엔 광야생활 중에 물이 없을 때 반석에서 생수를 내주신 것을 기념하는 의미와 이른 비를 기원하는 의미가 들어 있다. 장막절이 지나면 밀, 보리를 파종해야 했기 때문에 비가 오기를 소원했던 것이다. 또한 메시아가 오실 때 부어질 성령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했다.
제사장이 물을 길어올 때 수많은 사람들은 환호하며 그를 맞았고 제사장들은 은나팔을 불었으며 다른 제사장들은 이사야 말씀으로 찬송을 하였다(사 12:3). 제단에 물을 부을 때 레위인들은 시편 118편을 찬양했으며 제사장들이 “여호와여 구하옵나니 이제 구원하옵소서”(시 118:25)를 외치면 모든 회중은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시편 113-118편으로 만든 할렐송을 불렀다.
명절 끝날, 큰 날:
유대인들은 초막절 마지막 날을 ‘큰 구원의 날’로 지킨다. 이 날을 지난 해의 죄를 용서받을 수 있는 마지막 사죄의 날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초막절 마지막 날 제단에 물을 부으면서 사죄의 은총에 감사한다. 이러한 유대인들을 향해 예수님은 목마른 사람은 내게로 와서 마시라고 외치시며(요 7:37) 그리하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고 하셨다(요 7:38). 모든 유대인들은 구약의 전통에 따라 메시아는 초막절에 오신다고 믿었다.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100% (스가랴)
0% (전체)
스가랴 선지자는 학개 선지자, 스룹바벨 총독과 동시대 인물이었지만 나이는 이들보다 훨씬 어렸습니다.
1~8장은 학개 선지자 시대와 동일합니다.
9~14장에는 시대적 배경이 언급되어 되지 않아서 불분명하지만 문체가 다르고 '헬라'등에 관해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B.C.480~470년경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시기는 바사(페르시아) 다리오 1세 왕이 물러나고 아하수에로 왕이 그 뒤를 이어 통치하는 시기였습니다.
스가랴 선지자가 성전건축을 격려하고 양떼를 버린 목자에 대해 경고의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가랴 선지자가 본 예수님의 재림과 마지막 하나님의 날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