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1그리스 제국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지중해 일대의 세력 판도는 변하게 됩니다. 먼저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 필립 2세는 페르시아를 공격하려다 암살당하고 말았습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21세의 젊은 나이로 왕으로 등극한 알렉산더 대왕은 마케도니아를 정복하고 결국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켰습니다.
이러한 알렉산더 대왕의 패권은 지중해 일대를 그리스 문화화하는 데 크게 공헌을 하게 됩니다. 즉 알렉산더 대왕은 가는 곳곳마다 헬레니즘 문화와 헬라(그리스)어를 보급하게 되는데, 신약성경이 헬라어로 기록된 일과 이스라엘과 지중해 곳곳에 헬라식 건축양식이나 헬라식 문화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중해 지역과 소아시아 일대를 평정한 알렉산더 대왕도 32세의 젊은 나이로 운명을 달리하고 그리스제국은 결국 분열의 길로 들어서고야 말았습니다.
헬라제국은 알렉산더 대왕의 부하들이 영토를 나누면서 크게 네 나라로 분열(B.C.312)되는데, 먼저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지역을 중심으로 한 프톨레미, 시리아와 아나톨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안티고노스, 소아시아와 트리기아 지방을 중심으로 한 리시마쿠스, 그리고 마게도냐를 중심으로 한 카산더가 세우는 나라로 각각 나뉘게 됩니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지역...프톨레미(Ptolemy)
시리아와 아나톨리 지역...안티고노스(Antigonus)
소아시아와 트리기아 지방...리시마쿠스(lysimachus)
마케도니아 지방...카산더(Cassender)
한편 프톨레미의 지원을 받은 셀레우코스는 바벨론을 차지한 이후에 동쪽으로 계속해서 영향력을 확대했고, 안티고노스는 그를 저지하기 위해 바벨론을 공격(B.C.311~B.C.309)했으나 이기지 못했습니다. 그 후에 후계자 전쟁 중에 가장 큰 규모인 입소스 전투(B.C.301)에서 셀레우코스가 압승을 하였습니다. 셀레우코스가 시리아와 바벨론 지역을 차지하였습니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지역...프톨레미(Ptolemy)
시리아와 바벨론 지역...셀레우코스(Seleucus)
소아시아와 트리기아 지방...리시마쿠스(lysimachus)
마케도니아 지방...카산더(Cassender)
이 때 150년 전쟁이라고도 불리우는 시리아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 전쟁은 '코엘레 시리아' 지역을 둘러싸고 시리아 셀레우코스 왕조와 이집트 프톨레미 왕조 사이에 벌어진 6차례의 전쟁입니다.
이 후 유대지방은 다시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B.C. 198 ~ B.C. 142년)를 받게 됩니다. 셀레우코스 왕국의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미 왕국을 격파하고 팔레스타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됩니다. 그의 후계자 안티오코스 4세는 유대인들이 결코 잊어버릴 수 없을 정도로 잔혹한 인물로, 별명이 에피파네스("God Manifested" 신의 현현)일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습니다.
이 안티오코스 4세는 헬레니즘을 전파하기 위해 유대종교를 말살하는 정책을 폈는데, 우선 레위기에 나오는 희생제사 대신 유대인들이 가장 불결하게 생각하는 돼지피로 제사하도록 강요하였습니다. 또한 유대 종교의 중심지인 성전을 훼파하고 성전의 한복판에 주피터의 신상을 세웠습니다. 또한 이스라엘 지방 곳곳에 자신의 얼굴을 신상으로 세웠습니다. 또한 율법을 폐지하였고 성경 사본을 파괴하였으며, 안식일과 할례를 폐지했습니다.
연결자료 + 연결자료 +57% (중간사)
0% (전체)
구약의 말라기 선지자 이후부터 신약의 세례 요한 사이의 기간(B.C.432 ~ B.C.4)입니다.
페르시아 시대, 그리스 시대(알렉산더, 프톨레미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독립유대시대(마카비 혁명, 하스몬 왕조), 로마시대의 역사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표] 신구약 중간사 권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