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뽕나무 1(Balsam tree)
우유빛 수액을 분비하는 유향나무로 ‘베카임’(beka'im)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 나무는 웬만한 바람이 불어도 잎사귀끼리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평소에 잎이 흔들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 나무에서 잎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 것은 평이한 일이 아니다. 다윗 왕은 이 나무의 잎이 흔들리는 소리를 들을 때 하나님의 임재를 확신하고 나가 싸우므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이때의 사건에 나오는 뽕나무가 이 나무라고 본다(삼하 5:23-24; 대상 14:14-15).
뽕나무 2(Mulberry tree)
누가복음 17:6에 나오는 뽕나무는 ‘쉬카미노스’(sykaminos)로 오디가 열리는 일반적인 뽕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뽕나무 3(Sycamore-fig tree)
공동번역에는 돌무화과나무라고 번역되어 있는 이 나무는 라틴어와 헬라어에서 파생한 이름인 ‘시카모어’라는 나무로 히브리어로 ‘시크마’(shiqmah)라는 나무이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이집트이고 그 열매의 맛이 무화과와 비슷하다고 하여 흔히 ‘이집트 무화과’라고 한다. 이 나무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에서 자라며 유대 해안 지방, 갈릴리 아랫쪽, 유대 평야, 요르단 골짜기 같은 낮은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나무(왕상 10:27; 대하 1:15; 9:27)로 산악지대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이 나무의 특징은 첫째, 열매를 일 년 내내 맺는다는 것이다. 이 나무의 열매는 달며 최소한 두 번 정도의 열매를 맺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 애용하는 과일이다. 맛은 무화과보다 떨어지지만 먹을 만하며 영양분도 많기 때문이다.
둘째는, 생명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 나무는 밑둥치까지 잘라버려도 그루터기에서 새순이 올라온다. 나무를 흙으로 덮어버려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가지들이 뿌리를 내리면서 땅 위로 뻗어 올라온다. 장마나 바람으로 뿌리가 드러나도 뿌리는 땅 속 깊이 물길을 찾아 뻗는다.
셋째로는, 나무 재질이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다. 나무 재질이 치밀하지는 않지만 내구성이 강하다. 병충해에도 잘 견디고 열기나 습기에도 심한 영향을 받지 않아 오랜 세월이 지나도 상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고대 애굽인들은 미이라 넣는 관을 이 나무로 만들었다. 아모스 선지자가 키웠다는 뽕나무는 이 나무를 말하는 것이며(암 7:14) 삭개오가 올라간 나무도 이 나무라고 보고 있다(눅 19:4).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70% (역대상)
0% (전체)
역대기 저자는 바벨론(신바빌로니아) 포로에서 돌아온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인도하셨던 조상들의 위대한 역사를 회상시켜 주기 위하여 이스라엘의 역사 자료를 해석하고 엮었습니다.
역대기는 남 유다의 역사를 주로 종교적인 측면에서 백성과 왕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역대상은 사무엘서, 역대하는 열왕기서와 거의 비슷한 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유대인들은 70여 년간의 포로생활로 인해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이란 정체성이 무너져 있었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역대기 저자는 이스라엘의 계보를 통한 구원의 역사와 다윗 왕권과 성전의 제사 제도, 하나님의 권위를 증명함으로써 이스라엘은 여전히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임을 확고히 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이 변함없음을 보여 주고자 했습니다.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저자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종교적으로 해석하고 후세를 위해 역사에 대한 종교적 교훈을 주려고 쓴 것입니다. 저자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민족을 제사장으로 삼으려고 선택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민족이 이 사명을 자각하며 율법을 지키며 종교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실하게 살았을 때에는 약속하신 대로 큰 축복을 받았으나, 반대로 우상을 섬기며 종교적으로 타락하고 도덕적으로 부패할 때에는 불행과 비참이 왔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사실을 이스라엘의 과거의 역사를 가지고 증명하고 있습니다.
출처:한국컴퓨터선교회 성경사전
열왕기서와 역대기서의 차이점:
열왕기서와 역대기서는 연대기적 서술이라는 점에서 서로 비슷합니다. 그러나 열왕기서는 북 이스라엘과 남 유다 왕국의 역사를 모두 기록한 반면 역대기서는 남 유다 왕국을 중심으로 기록한 것이 다릅니다. 또한 열왕기서는 두 나라 왕들에 대해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왕들을 모세 선지자의 율법을 기준으로 평가하지만(왕상 16:7), 역대기서는 성전 제사와 다윗 왕을 기준으로 왕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대상 24장). 열왕기서는 역사가 하나님에 의해 주관되는 것을 보여 주지만(왕하 10:10) 역대기서는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것을 보여 줍니다(대상 29:11).
역대기서의 특징:
역대기는 다윗 왕과 솔로몬 왕의 죄들을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은 역대기의 기록 목적과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역대기는 메시아적인 왕이며 제사장인 다윗 왕을 통해 하나님께서 선택한 백성들에게 자신의 선택적이고 보호하시는 은혜를 나타내고자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출처 : 두란노 비전성경사전
역대기서의 목적:
옛날을 기억하라. 역대의 연대를 생각하라. 네 아비에게 물으라. 그가 네게 설명할 것이요, 네 어른들에게 물으라. 그들이 네게 이르리로다.(신명기 32:7 개역한글)
70년 만에 나라를 새롭게 세우려고 하면서 역사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나라(다윗 왕과 솔로몬 왕 시대)를 찾고 따라하려고 기록했습니다.
이스라엘이 왕국을 이루기까지의 역사 과정을 간략하게 기록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았던 것들을 중심으로 다윗 왕의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표] 역대상 권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