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에스더 왕후가 왕과 하만 총리를 잔치에 초대하였습니다 (5:1~5:8)
1제 삼일에, 에스더가 왕후의 예복을 입고 왕궁 안 뜰 곧 어전 맞은편에 서니, 왕이 어전에서 전 문을 대하여 보좌에 앉았다가,
2왕후 에스더가 뜰에 선 것을 본즉 심히 사랑스러우므로 손에 잡았던 금홀을 그에게 내어미니, 에스더가 가까이 가서 금홀 끝을 만진지라.
3왕이 이르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원이 무엇이며 요구가 무엇이뇨? 나라의 절반이라도 그대에게 주겠노라."
4에스더가 가로되,
"오늘 내가 왕을 위하여 잔치를 베풀었사오니, 왕이 선히 여기시거든 하만과 함께 임하소서."
5왕이 가로되,
"에스더의 말한대로 하도록 하만을 급히 부르라."
하고, 이에 왕이 하만과 함께 에스더의 베푼 잔치에 나아가니라.
6잔치의 술을 마실 때에 왕이 에스더에게 이르되,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 나라의 절반이라 할찌라도 시행하겠노라."
7에스더가 대답하여 가로되,
"나의 소청, 나의 요구가 이러하니이다. 8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고, 왕이 내 소청을 허락하시며 내 요구를 시행하시기를 선히 여기시거든, 내가 왕과 하만을 위하여 베푸는 잔치에 또 나아오소서. 내일은 왕의 말씀대로 하리이다."
【 참고자료 】
홀(笏) 또는 규(珪)
(에스더 5장 2절)
+
홀(笏) 또는 규(珪)
홀(笏)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1)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임금을 만날 때에 손에 쥐던 물건. 조복(朝服), 제복(祭服), 공복(公服) 따위에 사용하였으며, 일품부터 사품까지는 상아홀, 오품 이하는 목홀(木笏)을 썼다.
2) 혼례나 제례 때에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
규(圭 / 珪)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1) 모나 귀퉁이
2) 옥으로 만든 홀(笏). 위 끝은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졌다. 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제후를 봉하거나 신을 모실 때에 썼다.
홀(笏) 또는 규(珪)로 번역된 말은 히브리어로 '쉐배트'입니다.
'쉐배트'는 '지팡이' 혹은 '지휘봉'으로 왕이 가지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참고 성경 구절 - 창세기 49장 10절
개역한글판
홀이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치리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시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미치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
개역개정판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
공동번역
왕의 지팡이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지휘봉이 다리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리라. 참으로 그 자리를 차지할 분이 와서 만백성이 그에게 순종하게 되리라.
새번역
임금의 지휘봉이 유다를 떠나지 않고, 통치자의 지휘봉이 자손 만대에까지 이를 것이다. 권능으로 그 자리에 앉을 분이 오시면, 만민이 그에게 순종할 것이다.
현대인의 성경
왕의 지팡이가 유다를 떠나지 않을 것이니 그 지팡이의 소유자가 오실 때까지 그가 통치자의 지휘봉을 가지고 다스릴 것이며 모든 백성이 그에게 복종할 것이다.
NIV
The scepter will not depart from Judah, nor the ruler's staff from between his feet, until he comes to whom it belongs and the obedience of the nations is his.
NASB
The scepter shall not depart from Judah, Nor the ruler's staff from between his feet, Until Shiloh comes, And to him shall be the obedience of the peoples.
참고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