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목차
구 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에스라
느헤미야
  • * 에스더  
  • 1. 에스더 왕후  
    • 1.1. 바사 아하수에로 왕 3년에 와스디 왕후가 폐위되었습니다 (1:1~1:22)
    • 1.2. 아하수에로 왕 7년에 에스더가 왕후가 되었습니다 (2:1~2:18)  
    • 1.3. 모르드개가 왕의 모살 음모를 발견하여 알렸습니다 (2:19~2:23)  
    • 2. 유다인 말살 음모  
      • 2.1. 아하수에로 왕 12년 1월에 하만 총리가 유다인 말살을 계획했습니다 (3:1~3:15)
      • 2.2. 모르드개가 자기 민족을 구해달라고 왕에게 간청할 것을 에스더 왕후에게 부탁했습니다 (4:1~4:17)  
      • 2.3. 에스더 왕후가 왕과 하만 총리를 잔치에 초대하였습니다 (5:1~5:8)  
      • 2.4. 하만 총리가 모르드개를 죽이려고 계획했습니다 (5:9~5:14)  
      • 2.5. 왕의 모살 음모를 고발했었던 모르드개에게 왕이 특별대우를 베풀었습니다 (6:1~6:14)  
      • 2.6. 에스더 왕후가 하만 총리의 음모를 고하므로 왕이 그를 나무에 매달았습니다 (7:1~7:10)  
      • 2.7. 아하수에로 왕 12년 3월에 유다인을 치려하는 자에게 대항하라는 조서를 내렸습니다 (8:1~8:17)  
      • 2.8. 아하수에로 왕 12년 12월 13일에 하만 총리의 유다인 말살 계획이 뒤바뀌었습니다 (9:1~9:19)  
      • 2.9. 에스더 왕후와 모르드개가 이 날을 부림절로 지키게 하였습니다 (9:20~9:32)  
      • 2.10. 모르드개가 유다인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10:1~10:3)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신구약 중간사
중간사
신 약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Go
 
에스더 [권정보]
글자크기
1년 1독 기준일자 : 2025년 06월 16일 ?


  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이동하기

  •   2. 유다인 말살 음모
2.1. 아하수에로 왕 12년 1월에 하만 총리가 유다인 말살을 계획했습니다 (3:1~3:15)

 1그 후에 아하수에로왕이 아각*(아각(뜻: 분노의 사람)\n네게브와 시내 반도에 살고 있는 ‘아말렉 족속의 왕’을 부르는 칭호로 문자적인 의미는 ‘분노의 사람’이라는 뜻입니다.\n애굽 왕을 바로로, 로마 황제를 가이사로 부르는 것처럼 아말렉 왕을 일반적으로 ‘아각’이라고 불렀습니다.\n(참고:두란노 비전성경사전))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모든 함께 있는 대신 위에 두니, 2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복이 다 왕의 명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복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고하였더니, 저희가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고하였더라.
 5하만이 모르드개가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심히 노하더니, 6저희가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고한고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경하다.' 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7아하수에로왕 십 이년 정월, 곧 니산월*(니산 월(The month of Nisan)\n유대력으로 1월, 태양력으로 3-4월에 해당하는 달이다.\n모세오경에서는 ‘아빕월’로 불려지다가 포로시대에 ‘니산월’로 바뀌었다(느 2:1; 에 3:7).\n(참고:두란노 비전성경사전))에 무리가 하만 앞에서 날과 달에 대하여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십이월 곧 아달월을 얻은지라. 8하만이 아하수에로왕에게 아뢰되,
 "한 민족이 왕의 나라 각 도 백성 중에 흩어져 거하는데, 그 법률이 만민보다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아니하오니, 용납하는 것이 왕에게 무익하니이다. 9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조서를 내려 저희를 진멸하소서. 내가 은 일만 달란트를 왕의 일을 맡은 자의 손에 부쳐 왕의 부고에 드리리이다."
 10왕이 반지를 손에서 빼어 유다인의 대적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에게 주며, 11이르되,
 "그 은을 네게 주고 그 백성도 그리하노니, 너는 소견에 좋을대로 행하라."
하더라.
 12정월 십 삼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하만의 명을 따라 왕의 대신과 각 도 방백과 각 민족의 관원에게 아하수에로왕의 이름으로 조서를 쓰되, 곧 각 도의 문자와 각 민족의 방언대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치니라. 13이에 그 조서를 역졸에게 부쳐 왕의 각 도에 보내니,
 '십이월 곧 아달월 십 삼일 하루 동안에 모든 유다인을 노소나 어린 아이나 부녀를 무론하고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또 그 재산을 탈취하라.'
하였고, 14이 명령을 각 도에 전하기 위하여
  '조서의 초본을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여 그 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
하였더라.
 15역졸이 왕의 명을 받들어 급히 나가매 그 조서가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 왕은 하만과 함께 앉아 마시되 수산성은 어지럽더라.
【 참고자료 】
아말렉 (에스더 3장 1절) +

아말렉(Ama-lekites)

  아말렉으로 시작된 족속 전체를 통칭합니다. 시나이(시내) 반도와 네게브 사막 북동쪽의 황폐한 땅에 살았던 이들(창 14:7)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을 가장 먼저 공격한 민족으로(출 17:8), 이들은 여러 번 이스라엘과 적대적인 관계로 묘사되었습니다(삿 3:13; 6:3; 삼상 15:20; 27:8).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데스에 이르렀을 때, 불순종함으로 인해 아말렉에게 패하고 말았습니다(민 14:43-45). 또한 사사기에서는 아말렉이 미디안과 연합하여 모압 왕 에글론을 도와 북이스라엘을 공격했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삿 3:13; 6:3, 33).

  사울 왕은 “이제 너는 아말렉을 쳐서 그들의 모든 소유를 남기지 말고 진멸하라”(삼상 15:3)는 명령을 받고서 아말렉을 공격하였으나 완전히 멸망시키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았고, 결국 사울은 하나님께 버림을 받았습니다(삼상 15:18-19). 사울의 진멸을 피해(삼상 15:9) 남아 있던 아말렉인들은 술과 애굽 땅으로 지나가는 부근에 살고 있었는데, 다윗 왕이 다시 공격하였습니다(삼상 27:8-9).

  아말렉인을 멸절시키라는 하나님의 명령은 히스기야 왕 때 시므온 자손에 의해서(대상 4:43), 또 에스더 때 아말렉의 후손인 하만과 그 일족을 처형함으로써 성취되었습니다(에스더 7:9-10). 이는 “아말렉은 열국 중 으뜸이나 종말은 멸망에 이르리로다”(민 24:20)라고 했던 발람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었습니다.

출처:두란노 비전성경사전

[ 참고 글 - 아말렉의 정체 - 보러가기 ]

닫기
성경의 달력 (에스더 3장 7절) +
이전 다음

                         43% (에스더)

                 0% (전체)

성경 읽기표   성경읽기 Top 10
원문순서
시간순서
개역한글판
본문에서 표시(*)가 있는 단어를 선택하시면,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배경 바꾸기
  장절 보기  숨기기
Go
성경 목차
구 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에스라
느헤미야
  • * 에스더  
  • 1. 에스더 왕후  
    • 1.1. 바사 아하수에로 왕 3년에 와스디 왕후가 폐위되었습니다 (1:1~1:22)
    • 1.2. 아하수에로 왕 7년에 에스더가 왕후가 되었습니다 (2:1~2:18)  
    • 1.3. 모르드개가 왕의 모살 음모를 발견하여 알렸습니다 (2:19~2:23)  
    • 2. 유다인 말살 음모  
      • 2.1. 아하수에로 왕 12년 1월에 하만 총리가 유다인 말살을 계획했습니다 (3:1~3:15)
             닫기
      • 2.2. 모르드개가 자기 민족을 구해달라고 왕에게 간청할 것을 에스더 왕후에게 부탁했습니다 (4:1~4:17)  
      • 2.3. 에스더 왕후가 왕과 하만 총리를 잔치에 초대하였습니다 (5:1~5:8)  
      • 2.4. 하만 총리가 모르드개를 죽이려고 계획했습니다 (5:9~5:14)  
      • 2.5. 왕의 모살 음모를 고발했었던 모르드개에게 왕이 특별대우를 베풀었습니다 (6:1~6:14)  
      • 2.6. 에스더 왕후가 하만 총리의 음모를 고하므로 왕이 그를 나무에 매달았습니다 (7:1~7:10)  
      • 2.7. 아하수에로 왕 12년 3월에 유다인을 치려하는 자에게 대항하라는 조서를 내렸습니다 (8:1~8:17)  
      • 2.8. 아하수에로 왕 12년 12월 13일에 하만 총리의 유다인 말살 계획이 뒤바뀌었습니다 (9:1~9:19)  
      • 2.9. 에스더 왕후와 모르드개가 이 날을 부림절로 지키게 하였습니다 (9:20~9:32)  
      • 2.10. 모르드개가 유다인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10:1~10:3)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신구약 중간사
중간사
신 약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권 정 보 [ 닫기 ]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도] 수산
역사 연도
B.C.483 ~ B.C.473
유다백성의 포로 및 귀환 시대
(B.C.586 ~ B.C.432)
역사적 상황

  바사(페르시아) 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헬라어) 왕은 재위 3년, 즉 B.C. 482년에 대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역사 헤로도투스에 의하면 이 잔치는 아하수에로 왕이 헬라를 침공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었으나, 그 후 살라미 전투에서 헬라군에게 대패함으로써, 그는 여자들에게서 위안을 찾으려고 했다고 합니다.

글쓴이
모름
글쓴 연도
B.C.331 이전
책 이름 설명
유다 여인 에스더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역사서
간추린 내용

  유다인들이 큰 위협에 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에스더의 활약이 펼쳐집니다.

권 구성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표] 에스더 권 구성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