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목차
구 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 * 에스라  
  • 1. 스룹바벨 총독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 1차 귀환  
    • 1.1. 바사(페르시아) 고레스 왕 원년에 유다 포로의 귀환 칙령이 공포되었습니다 (1:1~1:11)
    • 1.2. 다음은 포로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사람들입니다 (2:1~2:70)  
    • 2. 예루살렘 성전, 성벽, 성읍 재건 1  
      • 3. 예루살렘 성전, 성곽, 성읍 재건 2  
        • 4. 이스라엘 자손과 그에 속한 무리들이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6:19~6:22)
        • 5. 에스라 학사의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 2차 귀환    
느헤미야
에스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신구약 중간사
중간사
신 약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Go
 
에스라 [권정보]
글자크기
1년 1독 기준일자 : 2025년 06월 10일 ?


  1년 1독 기준일자는 1년 동안 성경 전체를 1독하고자 할 때 현재 본문을 읽으실 날짜를 말합니다. 즉 기준일자에 맞추어서 성경 본문을 읽으시면 1년에 1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읽으실 본문은 민수기 1장 1절에서 시작합니다. (현재 '원문순서'입니다.)

이동하기

  •   1. 스룹바벨 총독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 1차 귀환
1.1. 바사(페르시아) 고레스 왕 원년에 유다 포로의 귀환 칙령이 공포되었습니다 (1:1~1:11)

 1바사 왕 고레스 원년*(바사 왕 고레스 원년 - B.C. 538년\n(바벨론 함락 B.C. 539년))에, 여호와께서 예레미야의 입으로 하신 말씀을 응하게 하시려고 바사 왕 고레스의 마음을 감동시키시매, 저가 온 나라에 공포도 하고 조서도 내려 가로되, 관련구절 +
 2"바사 왕 고레스는 말하노니, 하늘의 신 여호와께서 세상 만국으로 내게 주셨고, 나를 명하사
 '유다 예루살렘에 전을 건축하라.'
하셨나니, 3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참 신이시라. 너희 중에 무릇 그 백성 된 자는 다 유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거기 있는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라. 너희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4무릇 그 남아 있는 백성이 어느 곳에 우거하였든지 그곳 사람들이 마땅히 은과 금과 기타 물건과 짐승으로 도와주고, 그 외에도 예루살렘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예물을 즐거이 드릴찌니라."
하였더라. 도움말 +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바빌로니아에 잡혀 있던 유대인을 해방하는 키루스 2세 (장 푸케, Jean Fouquet, 1470년)
 5이에 유다와 베냐민 족장들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무릇 그 마음이 하나님께 감동을 받고 올라가서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을 건축코자 하는 자가 다 일어나니, 도움말 + 6그 사면 사람들이 은그릇과 황금과 기타 물건과 짐승과 보물로 돕고, 그 외에도 예물을 즐거이 드렸더라.
 7고레스왕이 또 여호와의 전 기명*(기명(器皿)\n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n(출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꺼내니, 옛적에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옮겨다가 자기 신들의 당에 두었던 것이라. 8바사 왕 고레스가 고지기*(고-지기(庫지기)\n「1」 『역사』 관아의 창고를 보살피고 지키던 사람.\n「2」 『역사』 일정한 건물이나 물품 따위를 지키고 감시하던 사람.\n(출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미드르닷을 명하여 그 그릇을 꺼내어 계수하여 유다 목백 세스바살에게 붙이니, 9그 수효는 금반이 삼십이요, 은반이 일천이요, 칼이 이십 구요, 10금대접이 삼십이요, 그보다 차한 은대접이 사백 열이요, 기타 기명이 일천이니, 11금, 은기명의 도합이 오천 사백이라. 사로잡힌 자를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올 때에 세스바살이 그 기명들을 다 가지고 왔더라.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성전의 기명을 꺼내는 고레스 왕 (귀스타브 도레, Gustave Doré, 1866년)
【 참고자료 】
레위기와 구약의 상관 관계 (에스라 1장 1절) +
바벨론 포로와 포로 귀환 (에스라 1장 1절) +
바사(페르시아) 왕 (에스라, 학개, 스가랴, 에스더, 느헤미야) (에스라 1장 1절) +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에스라 1장 3절) +
【 관련 퀴즈 】 +
이전 다음

                         12% (에스라)

                 0% (전체)

성경 읽기표   성경읽기 Top 10
원문순서
시간순서
개역한글판
본문에서 표시(*)가 있는 단어를 선택하시면,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배경 바꾸기
  장절 보기  숨기기
Go
성경 목차
구 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상
역대하
  • * 에스라  
  • 1. 스룹바벨 총독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 1차 귀환  
    • 1.1. 바사(페르시아) 고레스 왕 원년에 유다 포로의 귀환 칙령이 공포되었습니다 (1:1~1:11)
           닫기
    • 1.2. 다음은 포로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사람들입니다 (2:1~2:70)  
    • 2. 예루살렘 성전, 성벽, 성읍 재건 1  
      • 3. 예루살렘 성전, 성곽, 성읍 재건 2  
        • 4. 이스라엘 자손과 그에 속한 무리들이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6:19~6:22)
        • 5. 에스라 학사의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 2차 귀환    
느헤미야
에스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신구약 중간사
중간사
신 약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권 정 보 [ 닫기 ]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도] 에스라 학사의 예루살렘 귀환
역사 연도
B.C.538 ~ B.C.445
유다백성의 포로 및 귀환 시대
(B.C.586 ~ B.C.432)
역사적 상황

  에스라서는 포로 후기의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하여 하나님의 언약의 약속이 어떻게 성취되었는가를 기록한 것입니다.

  바사(페르시아) 고레스 왕은 B.C. 539년 10월에 바벨론을 정복하였습니다. 그의 정책은 피정복 민족에게 자치권을 주어 통치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B.C. 538년에 칙령을 발표하여 유대인들로 하여금 고국으로 돌아가도록 허용하였습니다.

  이 때 약 50,000명이 스룹바벨 총독의 인도하에 돌아왔고, 성전의 기초가 놓여졌습니다. 그러나 바사(페르시아) 다리오(다리우스) 왕의 통치하인 B.C. 515년까지 완성되지 못했습니다. 에스라 1~6장은 이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에스라 7~10장은 에스라 학사가 바사(페르시아) 아닥사스다 왕의 호의로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백성들의 영적 회복 운동을 주도했던 일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글쓴이
에스라
글쓴이 소개
백성들에게 율법을 낭독하는 에스라 (귀스타브 도레, Gustave Dore, 1865년)

백성들에게 율법을 낭독하는 에스라 (귀스타브 도레, Gustave Doré, 1866년)

글쓴 연도
B.C.444 이후
책 이름 설명
에스라 학사가 쓴 역사서
간추린 내용

  스룹바벨 총독과 에스라 학사에 의해 각각 주도된 두 차례의 포로 귀환 사건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바사(페르시아) 고레스 왕이 유다 포로 귀환을 허락함으로써 스룹바벨 총독의 인도하에 귀환합니다. 귀환한 이스라엘 자손들은 성전과 성곽, 예루살렘 성읍 재건을 시작하였으나, 사마리아인들의 방해로 공사가 중단 됩니다.

  학개 선지자와 스갸랴 선지자의 격려로 중단된 공사가 다시 시작되어서 성전이 완성 되었습니다. 성전 봉헌식을 올리고 유월절도 지켰습니다.

  바사(페르시아) 아닥사스다 왕이 에스라 학사에게 예루살렘 귀환 명령을 내림으로, 에스라 학사가 사람들을 모아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습니다. 에스라 학사가 먼저 돌아왔던 사람들의 잘못된 생활을 보고 이를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합니다.

권 구성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표] 에스라 권 구성

닫기